백준 6064번, 카잉달력 문제입니다
#시간제한 #수학
문제
최근에 ICPC 탐사대는 남아메리카의 잉카 제국이 놀라운 문명을 지닌 카잉 제국을 토대로 하여 세워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카잉 제국의 백성들은 특이한 달력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M과 N보다 작거나 같은 두 개의 자연수 x, y를 가지고 각 년도를 <x:y>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그들은 이 세상의 시초에 해당하는 첫 번째 해를 <1:1>로 표현하고, 두 번째 해를 <2:2>로 표현하였다. <x:y>의 다음 해를 표현한 것을 <x':y'>이라고 하자. 만일 x < M 이면 x' = x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x' = 1이다. 같은 방식으로 만일 y < N이면 y' = y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y' = 1이다. <M:N>은 그들 달력의 마지막 해로서, 이 해에 세상의 종말이 도래한다는 예언이 전해 온다.
예를 들어, M = 10 이고 N = 12라고 하자. 첫 번째 해는 <1:1>로 표현되고, 11번째 해는 <1:11>로 표현된다. <3:1>은 13번째 해를 나타내고, <10:12>는 마지막인 60번째 해를 나타낸다.
네 개의 정수 M, N, x와 y가 주어질 때, <M:N>이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라고 하면 <x:y>는 몇 번째 해를 나타내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는 한 줄로 구성된다. 각 줄에는 네 개의 정수 M, N, x와 y가 주어진다. (1 ≤ M, N ≤ 40,000, 1 ≤ x ≤ M, 1 ≤ y ≤ N) 여기서 <M:N>은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를 나타낸다.
출력
출력은 표준 출력을 사용한다. 각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정수 k를 한 줄에 출력한다. 여기서 k는 <x:y>가 k번째 해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x:y>에 의해 표현되는 해가 없다면, 즉, <x:y>가 유효하지 않은 표현이면, -1을 출력한다.
문제 해석하기
매 줄마다 숫자가 하나씩 주어진다. <x:y>가 몇번째 해인지 구하는 문제이다. 예시 숫자를 넣어서 이해해보자
M=10, N=12인 경우를 넣어보자.
k=1 <1:1>
k=2 <2:2>
k=3 <3:3>
...
k=10 <10:10>
k=11 <1:11>
k=12 <1:12>
k=13 <1:13>
...
이런 식으로 진행되어서 60번째 해가 마지막이다. 문제 이해가 끝났으니 해결책을 찾아보자
해결 방법 생각하기
1. 어떤 방법을 써볼까?
처음 생각한 방법은, 단순히 첫번째 해부터 1씩 반복문을 돌면서 x<M이면 x' = x+1이고 그렇지 않으면 x'=1이고, y<N이면 y'=y+1이고 그렇지 않으면 y'=1이라는 문제에서 주어진 규칙을 따라 계산해가면서 <x:y>와 일치하면 해당 k값을 return하고 k가 마지막 해가 되도록 일치하는 k가 나오지 않으면 -1을 리턴하는 방법이다. 또는, 위 조건을 해석하면 k%M+1 == x 이면서 k%N+1 == y 이라는 나머지를 활용한 식을 뽑아낼 수 있으니, 이를 이용해 k를 1씩 더해가면서 일치하는 k가 나올 때 까지 구하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물론 이렇게 해결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히 구현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이렇게 풀면 시간초과가 나온다!
시간을 생각해서 k를 1씩 더해가면서 찾는 것이 아니라, 규칙을 찾아 식을 세우는 편이 좋아보인다.
2. 규칙 찾기
어떻게 시간을 줄일 수 있을까? 예시를 활용해서 계산을 해보자.
M=10, N=12, x=3, y=9인 경우를 넣어보자. 우리는 x=3, y=9인 k를 찾아야한다.
몇번째 해에 x=3일까?
: 3, 13, 23, 33, 43, ..., 3+i*10
몇번째 해에 y=9일까?
: 9, 21, 33, ..., 9+j*10
"k = x+ M의배수 = y+ N의배수" 임을 알 수 있다. 식으로 표현하면 k = x+iM = y+jN 이라고 하면 되겠다. i, j는 알 수 없으니까 i, j가 없는 식으로 변환해보자.
k = x + iM --------------- ①
→ k-x = iM ------------- ② k-x는 M의 배수임을 알 수 있다.
→ (k-x)%M == 0 ------ ③ 이를 if문을 위한 조건식으로 바꾼다.
y도 마찬가지로 하면, 우리는 (k-x)%M==0 이고 (k-y)%N==0 인 k를 return하면 된다.
3. 최종 설계
1. 조건을 만족하는 k가 있으면 답은 k
2. 1을 반복하되, k가 마지막 해가 넘어도 끝나지 않으면 답은 -1
마지막 해는 언제일까? (반복문의 종료조건)
k가 마지막해를 넘기도록 일치하는 <x:y>가 없으면 -1을 출력해야한다. 언제가 마지막해일까? 문제에서 <M:N>이 마지막해라고 주어졌다. <M:N>이 되려면 k는 M,N의 최소공배수이다. 왜인지 잘 모르겠다면 예시를 넣어서 생각해보자. 아까 M=10, N=12인 예시에서 마지막해는 60번째 해라고 문제에서 설명해주었다. 60은 10과 12의 최소공배수이다. 그래서 종료조건은 k가 M,N의 최소공배수가 되면 반복문이 종료되게 하면 될 것 같지만 최소공배수도 구해야한다니... 최소공배수도 재귀함수로 구하면 시간이 좀 많이 걸릴 거 같다. 왜 이런 말을 했냐면, 그럴필요가 없어서이다
어차피 답이 없을거면 최소공배수를 넘겨도 답이 없다. 대충 넉넉하게 M*N까지로 종료시켜줘도 된다. M,N이 2,7이라면 14 = 2*7이 최대이다. 10,12처럼 2로 나누어떨어지니 2*5*6 = 60이지만, 아무튼 반복 최대치는 M*N으로 잡아도 된다는 걸 엿볼 수 있다.
구현하기
최종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solve(M,N,x,y):
k = x
while k <= M*N: # 대충 넉넉하게 M*N번
if (k-x)%M==0 and (k-y)%N==0:
return k
k+=M
return -1
T = int(input())
for _ in range(T):
M, N, x, y = map(int, input().split())
print(solve(M,N,x,y))
(추가) 최소공배수로 잡으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gcd(a,b):
if b==0:
return a
else:
return gcd(b, a%b)
def solve(M,N,x,y):
k = x
while k <= (M*N//gcd(M,N)): # 최소공배수이긴한데, 대충 M*N번
if (k-x)%M==0 and (k-y)%N==0:
return k
k+=M
return -1
T = int(input())
for _ in range(T):
M, N, x, y = map(int, input().split())
print(solve(M,N,x,y))
https://www.acmicpc.net/problem/6064
17425번: 약수의 합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 = BC를 만족하는 자연수 C를 A의 약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2의 약수는 1, 2가 있고, 24의 약수는 1, 2, 3, 4, 6, 8, 12, 24가 있다. 자연수 A의 약수의 합은 A의 모든 약수를 더
www.acmicpc.net
'개발관련 정보글 모음 > 코딩테스트 문제풀이(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_3085_사탕게임 (1) | 2023.12.21 |
---|